티스토리 뷰

 

K패스 최대 53% 환급 방법
K패스 최대 53% 환급 방법

 

 

전국에서 이용 가능한 K패스가 오는 5월부터 시행됩니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한 금액의 일부를 다음달에 환급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K패스란?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 금액의 일정 금액을 다음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일반인은 20%, 청년층은 30%, 저소득층은 53%를 다음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데요. 현재 시행 중인 알뜰교통카드의 불편사항을 개선하고 혜택은 확대한 사업입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는 도보 및 자전거 등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를 환급했지만 K패스는 이동거리에 관계없이 지출금액에서 일정 비율을 환급해주기 때문에 출도착 기록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024.02.08 - [분류 전체보기] - 알뜰교통카드 신청 방법, 마일리지 적립 방법

 

알뜰교통카드 신청 방법, 마일리지 적립 방법

K패스가 5월부터 도입된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쓰고 계시는 분들이나 할인 교통카드를 알아보고 계시는 분들은 다양한 할인 교통카드 혜택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어 혼란

money.jjtmi.com

 

 

✅ 그럼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쓰던 분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K패스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 카드를 그대로 k패스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지원내용은?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대중교통비 지출액에서 일부 환급해주는 지원사업입니다. 시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민자철도(신분당선 등) 교통카드 기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이라면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데요. 일반, 청년, 저소득층에 따라 적립률에 차등이 있으니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하세요.

 

K패스 최대 53% 환급 방법

 

예를 들어 매월 교통비로 7만원을 지출한다고 가정했을 때, 일반인은 7만원의 20%인 1만 4천원을 다음달에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청소년이라면 7만원의 30%인 2만 1천원을 환급 받을 수 있고 저소득층은 3만 7천원까지 받을 수 있어 연간 최대 44만원을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는 대부분 지역에서 적용되지만 일부 지원이 안되는 지역도 있으니 아래 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0만명이 안되는 일부 지역은 알뜰교통카드와 K패스 미참여 지역으로 분류된 것으로 보입니다.

 

K패스 최대 53% 환급 방법

 

 

K패스 신청방법은?

 

K패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분들은 5월부터 신청이 가능한데요. K패스 공식 누리집(Korea-pass.kr)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11개 카드사의 누리집을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K패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1개 카드사는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티머니, 이동의즐거움, DGB유페이 등 대부분의 카드사에서 지원하고 있으니 원하는 상품으로 고르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발급된 카드는 실물카드로 사용하셔도 되지만 삼성페이에 등록해 놓으면 핸드폰으로 쉽게 교통카드 결제가 됩니다. 아래 버튼을 클릭하셔서 삼성페이로 교통비 결제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K패스 교통비 환급 방법K패스 교통비 환급 방법K패스 교통비 환급 방법
K패스 교통비 환급 방법K패스 교통비 환급 방법K패스 교통비 환급 방법
K패스 교통비 환급 방법K패스 교통비 환급 방법K패스 교통비 환급 방법
K패스 교통비 환급 방법K패스 교통비 환급 방법K패스 교통비 환급 방법
K패스 최대 53% 환급 방법